매력적인 플라이낚시 대상어 "끄리"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끄리(학명: Opsariichthys uncirostris amurensis Berg, 1932, 영어: Piscivorous chub, 중국어: 马口鱼).
끄리속(Opsariichthys)은 1863년 Bleeker가 명명했다고 한다. 중국에서 끄리의 학명은 Opsariichthys bidens Gunther, 1873이고 일본에서는 Opsariichthys uncirostris Temminck & Schlegel, 1846이고 그리고 대만에 분포하는 끄리의 학명은 Opsariichthys pachycephalus Gunther, 1868으로 되어있다.
일본이나 대만의 끄리를 잡아보지는 못했지만 중국 총칭(重庆)에서 잡았던 끄리는 한국이나 중국 베이징에서 잡히는 끄리와는 크기나 외형에서 다르다고 느꼈고 한국과 베이징의 끄리는 외형적으로 크게 다르다고 느끼지 못했다.
누군가 유전자를 조사해서 같은 끄리의 학명은 같은 것으로 통일해 주었으면 좋겠다.
처음 플라이낚시를 준비하면서 막연하게 산천어를 대상어로 정했지만 실제로 나를 플라이낚시의 세상으로 끌어당긴 것은 끄리였다. 플라이낚시로 물고기가 잡힐까 하는 생각으로 기대 없이 홍천강에 서서 대충 캐스팅하고 있는데 갑자기 훅을 물고 늘어져 나의 얼굴에 웃음을 만들어준 물고기가 바로 끄리이다.
지금도 가장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플라이낚시 대상어는 끄리이다. 강과 호수 모두에서 큼직한 끄리를 만날 수 있다. 심지어 눈이 내리고 강이 꽁꽁 얼어붙는 한겨울에도 끄리는 먹이 활동을 했다.
베이징에서 일반적으로 잡히는 끄리는 크지는 않지만(10센티미터~25센티미터, 홍천강에서는 30센티미터 끄리도 흔하고 최대 40센티미터까지도 잡힌다) 훅을 굉장히 사납게 공격하고 바늘털이도 대단하기 때문에 플라이낚시 대상어로는 손색이 없는 듯하다.
2024년 1월에서 2월 말까지 평소에 잘 사용하지 않던 님프(Nymph) 훅으로 한겨울에 활동하는 끄리를 잡으며 님프 훅의 제작과 운용을 익힐 수 있었다.
날씨가 조금씩 따뜻해지며 강가에서 대량의 깔따구가 우화하기 시작하는 2월 말부터 3월 중순까지는 내가 좋아하는 깔따구(Midge)나 하루살이(Mayfly)를 모방한 크고 작은 드리아 훅(Dry Hook)으로 큼직한 끄리를 잡았다.
3월 중순부터는 작은 물고기 치어를 모방한 스트리머(Streamer) 훅으로 끄리를 잡고 있다. 끄리의 훅 반응으로 추측하면 한겨울에는 님프 훅을 초봄에는 드라이 훅을 그리고 여름에 근접할수록 작은 물고기를 모방한 훅을 선호하고 있었다.
끄리는 상대적으로 흔하게 발견되지만 산천어 못지않게 신비롭고 야생미를 느낄 수 있는 매력적인 플라이낚시 대상어라고 생각한다. -2024.3.31 신호철
![]() |
중국 베이징의 끄리 |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