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막 날이 밝아오는 새벽에 깊은 산속 계곡을 홀로 걸어 올라 간다. 점점 사람들의 인기척도 사라지고 가끔 보이던 사람들의 흔적 마저도 완전히 사라져 갈때 쯤 작은 두려움을 마주한다.  커다란 공간 속에 홀로 서 있는 나를 발견한다. 숲 속에서는 내가 얼마나 작은 존재인지 금방 알 수 있다.  너무 작아 몸을 굽혀 유심히 들여다 보지 않으면 잘 발견 되지 않는 작은 생명체들은 마법과도 같은 초능력을 하나씩 가지고 있다. 숲속의 요정은 상상이 아닌 실제로 존재 한다. 단, 숲 속의 동화는 평화롭지 않다. 먹고 먹히는 수겁의 먹이사슬 속에서 생존의 역사를 써 내려간다. 그 속에서 살아남은 생명들은 숲속의 요정처럼 반짝이는 순간이 있다.  맑고 찬 공기를 마시고 차가운 계곡물을 거슬러 올라가며 내 안을 향하던 모든 감각은 이제 모두 밖을 향하고 있다. 저 앞에 있는 어두운 나무 그림자에 신경이 쓰이고 발 밑을 빠르게 지나가는 바위틈에도 신경이 쓰인다. 내 눈과 귀는 더욱 민감해지고 작은 움직임과 소리에도 신경이 간다.  모든 생명은 자신만의 길이 있다. 같은 길은 없다. 다른이가 걷고 있는 길이 내가 걸었던 길이라고 착각하고 집착하는 사람을 우리는 흔히 "꼰대"라고 한다. 다른이에 대한 존중이 빠진 자신의 권위를 위해 도구 삼으려는 행위. 이 또한 나만의 길 위에 놓여진 장애물이라면 과감히 뛰어넘자.  길, 우리는 항상 길 위에 있다. -2022.7.17 신호철   총칭 찐따오씨아(金刀峡)

복섬 플라이낚시

이미지
바다 플라이낚시 3호(3wt) 로드에 3번 릴, 3번 라인을 사용하여 복섬(Grass Puffer, 星点东方鲀) 플라이낚시를 하였다. 복섬은 바닷가 얕은 곳에 많이 서식하고 귀엽게 생겼는데 그 외모와 다르게 플라이 훅을 굉장히 빠르게 쫓아오고 먹겠다고 결정하면 난폭하게 입질한다. 덩치에 비해서 바늘털이하는 힘도 강해서 3호 로드나 더 낮은 로드로 공략하기 좋은 바다 물고기이다. 주의해야 할 것은 생각보다 예민해서 인기척을 느끼면 멀찌감치 거리를 둔다. 바다 플라이낚시에서 가장 어려운 점은 무엇일까? 나는 “물고기를 보는 눈”을 가지는 것이 가장 어렵다고 느껴졌다. 민물에서와는 다르게 파도가 치는 바다 수면에서 물고기를 찾는 것은 처음에는 막막하고 어렵게 느껴졌다. 포기하지 않고 오랜시간을 찾아헤매던 어느 날 바다 물고기들이 하나씩 눈에 들어오기 시작했고 그때부터 한 가지씩 새로운 어종을 잡을 수 있었다. 신기한 경험이었다. 이러한 경험을 어떻게 표현해야 할까? 한 날은 한참 밀물이 진행될 때 큰 바위 옆으로 지나다니는 벵에돔 때를 발견했고 한 날은 아주 얕은 곳에 들어와서 먹이를 먹는 복어를 발견했고 한 날은 파도가 울렁거리는1미터 정도 수심 아래 모래에서 먹이 활동하는 보리멸의 실루엣을 발견했고 어떤 날은 강한 파도가 부는 날 부서지는 파도 속에서 쫓아오는 줄전갱이를 보았고 어떤 날은 파도가 깨지는 해안가 바위가 많은 지역에서 작은 물고기를 잡아먹기 위해 수면을 빠르게 헤엄쳐 다니는 커다란 꼬치고기를 보았고 어느 조용한 날은 바위가 깔린 해변가에 가까운 곳에 큼직한 잿방어 수십마리가 때로 들어와 있는 것을 보았다. 처음에는 아무것도 보이지 않다가 어느날 부터인가 이러한 물고기들의 움직임이 하나씩 하나씩 눈에 들어오기 시작했다. 처음 가물치를 쫓을 때와 같이 보이지 않고 잡히지 않던 물고기가 어느 순간부터 눈에 들어오기 시작하고 잡히기 시작하는 느낌과 비슷했다. 계속해서 시도하면 더 잘 보였고 더 잘 잡혔다. 가장 힘든 것은 플라이낚시 자체가 아니라 훨...

무늬망둑 플라이낚시

이미지
바다 플라이낚시 3번(3wt) 플라이 로드에 3번 플라이 릴, 3번 플라이 라인을 사용하였다. 멀리 캐스팅하지 않고 구멍치기처럼 썰물 때 바닷물이 빠진 후에 생긴 물웅덩이 안에 있는 바위 뒤에 서서 바위 구멍 사이로 플라이 훅(Fly Hook)을 가라앉혔다. 16번 크기의 노란색 깃털과 덤벨아이(Dumbell Eye)로 만든 훅으로 꼬리 부분이 짧게 만들어진 훅을 사용했다. 플라이 훅을 바닥에 가라앉힌 후에 위아래로 움직임을 주면 주변에 있던 크고 작은 무늬망둑(Dusky Frill Goby, 褐深鰕虎)들이 파장을 느끼고 모여들었다. 특이한 것은 아무곳에나 분포할 것 같은 무늬망둑도 굉장히 한정적인 공간에서만 발견되었다. 있는 곳에는 굉장히 많은 개체수가 있고 없는 곳에는 한 마리도 볼 수 없었다. 분명 바닷가에 사는 물고기들도 위치에 따라서 우점종(Dominant Species)이 있는 것 같다. 산란철이었는지 무늬망둑 숫컷은 굉장히 화려한 색상을 띄고 있었다. 암컷은 잡지 못했고 대부분 덩치가 큰 숫컷 무늬망둑이 훅을 물었다. 먹이로 인식하고 무는 경우도 있지만 자기 영역을 침입한 것으로 간주해서 몰아내려고 무는 경우도 있는 듯하다. 바닷가 작은 바위들이 많은 곳, 바위들 틈으로 자그마한 플라이 훅을 조용히 가라앉히면 어떤 물고기들이 불쑥 튀어나와 물어줄까 하는 기대감에 시간 가는 줄 모른다. 대단한 손맛을 선사하지는 않지만 무늬망둑의 독특한 생태와 아름다운 모습에 다음에도 기회가 생긴다면 꼭 다시 들러서 무늬망둑 얼굴을 봐야지 한다. -2025.7.26 Shin Ho Chul 플라이 훅을 물고 올라온 무늬망둑(Dusky Frill Goby, 褐深鰕虎)

게르치 플라이낚시

이미지
바다 플라이낚시 게르치(Gnomefish, 牛眼青鯥)는 최대 1.5미터미터에 16킬로그램까지 크는 물고기로 3월에서 5월 사이에 얕은 지역 암초 지역에 알을 낳고 그해에 부화된 치어는 5월에 6센티미터까지 자라고 8월에는 20센티미터까지 자란다고 한다. 어릴 떄는 연안 암초지역에 살다가 9월쯤에 30센티미터까지 자라면 깊은 곳으로 이동한다고 한다. 우연히 항구 한쪽 바위가 많고 작은 물고기들이 많이 몰리는 곳에서 플라이낚시로 게르치를 잡을 수 있었다. 항상 같은 자리에서만 게르치가 잡혔고 썰물 때는 간혹 훅을 따라는 오지만 잘 물지 않았고 밀물로 돌아서면 성격이 난폭해져서 수면을 빠르게 지나가는 플라이 훅을 난폭하게 물었다. 어떨 때는 수면에 훅이 떨어지자마자 덥칠 정도로 난폭했다. 게르치는 수면 보다는 바닥 바위 사이에 머무르고 있기에 훅을 바닥 가까이까지 가라앉힌 후에 빠르게 당겨주면 여러 마리가 따라서 올라왔다. 금색 도금한 비드를 추가한 은색 반짝이 실로 만든 스트리머 훅만 물어주었고 금색 실로 만든 훅에는 달려들지 않았다. 두가지 훅을 아래위로 위치를 바꾸어가며 여러 번 시도했는데 항상 은색 플라이 훅만 물었다. 플라이 훅의 머리 부위를 무는(Bite) 것이 아니라 쫓아오면서 훅의 꼬리부터 머리까지 아무곳이나 물었다. 그래서 훅 길이의 두 배 이상 길이로 묶었던 은색 실을 훅 길이만큼 짧게 잘라 주었고 그 후로는 정확하게 후킹 되었다. 손에 잡았을 때 작은 비늘이 너무 잘 벗겨져서 물고기 집게 등을 사용해서 잡으면 편할 것 같다. 이빨에 물려보지는 않았지만 이빨이 덩치에 비해서 이빨이 굉장히 크고 뾰족해서 무섭게 생겼다. 3호(3wt)로드에 3번 릴, 3번 플로팅 라인에 4미터 정도의 리더를 연결했고 0.6호 목줄(티팻)을 사용했다. 12번, 16번 크기의 구슬 피라미 훅(Bead Minnow #12, Gold)을 사용했다. 물고기가 크지 않아 작은 훅이 조금 더 유리한 것 같다. 30센티미터 이상 자란 게르치가 9월전까지는 연안에 머무른...

숭어 플라이낚시

이미지
바다 플라이낚시 우연한 기회에 40센티미터 정도 되는 숭어(Flathead Grey Mullet, 乌鲻)를 실컷 잡아보았다. 물고기마다 좋아하는 염도가 다르다고 한다. 벵에돔 같은 경우는 고염도를 좋아하고 감성돔, 숭어와 같은 물고기들은 저염도를 좋아한다고 한다. 그래서 숭어의 경우 강과 바다가 만나는 기수역에서 쉽게 찾을 수 있고 어떨 때는 강을 타고 올라와 완전 민물에서 살기도 한다. 바닷가를 따라서 걷던 중 강과 바다가 만나는 지점에 있는 광어 양식장에서 24시간 대량의 물이 흘러나오는 곳에서 굉장히 많은 숫자의 크고 작은 숭어들이 모여 있는 것을 발견했다. 낚시하는 사람들이 없어서 그런지 첫날은 40센티미터 정도 크기의 많은 숭어들이 물이 나오는 얕은 곳까지 올라와서 먹이 활동을 하고 있었다. 따로 숭어 플라이낚시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았기에 훅 박스에 있는 이런 저런 훅들을 캐스팅하던 던 중 뜻밖에도 12번 크기의 노란색 고무 딱정벌레 훅(Foam Beetle #12, Yellow)에 반응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훅이 수면에 떨어지면 주변에 있던 큼직한 숭어들이 대부분 관심을 가지고 접근했는데 대부분은 훅 바로 밑에서 고개를 돌렸다. 하지만 간혹 그대로 돌진해서 훅을 덥치는 개체들이 있었다. 그런 개체의 숭어들을 집중적으로 노렸다. 수면에서 떠내려오는 부유물을 먹던 숭어들은 대부분 훅이 떠내려 오면 잠수하며 훅을 피했지만 피하지 않고 그대로 훅을 삼키는 숭어들도 있었고 실수로 훅과 가까운 티펫을 삼켜 후킹되는 경우도 있었다. 첫날은 그렇게 경계심이 거의 없는 순진한 숭어들을 실컷 잡았다. 3호 로드에 3번 릴, 3번 라인을 사용했고 0.8호(5X) 티펫이 터져서 1.2호(4X) 티펫을 사용했는데 숭어는 티팻 굵기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 같았다. 굵은 티팻을 사용하자 입질이 확연히 줄었다. 줄이 터져도 입질 받기가 유리하다고 느끼는 0.8호(5X) 티팻을 사용했다. 숭어 플라이낚시를 진행하면서 좀 더 작고 흰색의 부력이 좋은 플라이 훅이 아쉬웠다....

범돔 플라이낚시

이미지
바다 플라이낚시 범돔(Stripey, 细刺鱼)을 대상어로 정하고서 잡은 것은 아니다. 물이 들어오는 밀물 때 항구 구석 조용한 곳에서 플라이낚시 장비로 플라이 훅을 10미터 정도 캐스팅해서 물속 깊이 가라앉힌 후 앞으로 천천히 당겨오는 중에 무언가가 훅을 물고 늘어져서 올려보니 조그마하고 노란 범돔이 올라왔다. 눈에 잘 보이지 않아서 전혀 예상하지 못한 어종이었다. 추측에는 2미터 정도 되는 수심층에서 먹이 활동을 하다가 플라이 훅이 떨어지니 의심하지 않고 삼킨 것 같다. 정확하게 입에 후킹 되어서 나왔다. 그 후로 같은 방식으로 여러 번 캐스팅하였지만 범돔은 이 한 마리가 처음이자 마지막이었다. 더 이상 올라오지 않는다. 다른 뾰족한 방법이 없어 일단 범돔 플라이낚시로 제목을 지었지만 사실 조금 민망한 제목이다. 범돔을 목표로 한 플라이낚시도 아니었고 다시 잡고 싶다고 해도 잡을 방법이 묘연하기 때문이다. 밀물 때 먹이 섭취에 대한 적극성이 상승할 때 범돔이 머물고 있는 장소를 찾아서 캐스팅하면 어쩌면 잡을 수 있을 것이다. 범돔들이 어디에 자주 모여있는지도 모르고 정확히 어느 물 때에 잘 물어주는 줄도 모른다. 바벨아이(Barbell Eye)가 달린 노란색 깃털을 사용한 16번 크기의 훅을 물고 올라왔다. 범돔(Stripey, 细刺鱼)은 다 커도 20센티미터 정도 크기이고 어릴 때는 동물성 플랑크톤을 먹고 크면서 새우, 갯지렁이, 조개 등을 먹는다고 되어있다. 바닷가에서 바다 플라이낚시를 하다가 보면 어쩌다 한 번씩 만나게 될 듯하여 우선 간단히 기록을 남겨둔다. -2025.7.24 Shin Ho Chul 범돔(Stripey) 플라이낚시